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금융용어9

경제금융용어 08 | [공공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공공재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누군가가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이용이 줄어들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즉, 두 가지 핵심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누구도 이용에서 제외할 수 없음• 비경합성(Non-rivalry): 한 사람이 소비해도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량이 줄지 않음 예를 들어, 공원이나 거리의 가로등, 국방 시스템 등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내가 사용한다고 해서 누군가의 이용에 방해가 되지 않죠. 그래서 공공재는 시장에 맡기면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직접 제공하거나 보조금을 통해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대표적인 공공재의 종류들1. 국방가장 대표적인 공공재예요. 나라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국방.. 2025. 4. 2.
경제금융용어 07 | [골디락스 경제]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골디락스 경제’란 경제성장이 지나치게 빠르지도, 너무 느리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성장률은 적당히 높고, 물가는 안정적이며, 실업률도 낮은 상황을 말하죠. 이 용어는 영국 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주인공 골디락스가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딱 좋은’ 죽을 선택하듯이, 경제도 너무 뜨겁지도(과열), 차갑지도(침체) 않은 ‘딱 좋은’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후술하겠지만, 대표적으로는 미국이 1996년-2000년 정도에 높은 경제성장률, 낮은 실업률, 안정적 물가를 갖췄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단어라고 하네요.) [골디락스와 세마리의 곰] 줄거리어느 숲속에 아기 곰, 엄마 곰, 아빠 곰, 세 마리 곰 가족이 살고 있었어요.하루는 곰들이 식.. 2025. 4. 1.
경제금융용어 06 | [고통지수]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고통지수 (Misery Index)정의고통지수란 한 나라의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율)을 더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용어는 1970년대 미국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Okun)”이 고안했으며, 경제학적 복잡성을 단순화하여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불안정을 측정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습니다.실업률 (Unemployment Rate)고통지수를 계산하는 두 요소 중 하나로, 경제활동 인구 중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커지고, 이는 고통지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소비자물가상승률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고통지수의 또 다른 구성 요소로, 물가가 상승하는 .. 2025. 1. 15.
경제금융용어 05 | [고정금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고정금리 (Fixed Interest Rate) 용어의 정의 고정금리는 대출이나 예금 계약 기간 동안 금리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다면, 시장 금리가 어떻게 변하든 계약한 금리는 그대로 유지되어 매달 상환해야 할 이자 비용이 일정하게 고정됩니다. 고정금리 방식은 대출자나 예금자 모두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여, 장기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기에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 상품은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가 변동하는 변동금리 상품에 비해 안정적이지만, 금리가 고정된 만큼 초기 금리가 다소 높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고정금리는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유리하며, 장기적으로 금리 인상 리스크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주로 선택.. 2024. 11. 15.
경제금융용어 04 | [고용률]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용어의 정의 고용률 (Employment Rate) 고용률은 한 나라의 경제 활동 인구 중 실제로 일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자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지표는 한 나라의 고용 상태와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고용률이 높을수록 경제활동 인구 대부분이 일자리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므로 경제가 활성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고용률이 낮다면 경제가 침체되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일 가능성이 큽니다. 고용률은 전체 인구 대비 취업자 비율인 ‘취업률’과 혼동되기 쉽지만,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 비율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5세 이상 인구가 100만 명일 때, 그중 경제활동 인구가 70만 명이고, 취.. 2024. 11. 14.
경제금융용어 03 | [경상수지]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용어의 정의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경상수지란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의 경제 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외화와 지출한 외화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한 나라의 경제가 세계 경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경상수지는 국제적 경제 활동에서 한 나라의 경쟁력과 경제 건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외화 유입이 많아져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적자일 경우 외화 유출이 커져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 경제가 해외와의 거래에서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지속적인 흑자가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흑자나 적자는 오히려 경제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염두에.. 2024.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