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3

경제금융용어 09 | [공급탄력성]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 공급탄력성이란 가격이 변할 때 생산자(공급자)가 상품의 공급량을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이 값이 클수록 공급자가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뜻이고, 작을수록 가격이 변해도 공급량을 잘 바꾸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재화의 가격이 10% 오르자 공급량이 20% 늘었다면,공급탄력성은 20 ÷ 10 = 2, 즉 탄력적인 공급이라고 볼 수 있어요. 반대로 가격이 많이 올라도 공급량이 거의 늘지 않는다면 비탄력적 공급이라고 하죠. 사례 1. 농산물: 공급 비탄력적농작물은 대표적인 공급 비탄력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올랐다고 해도 당장 벼를 더 심을 수는 없기 때문에 공급량을 바로 늘릴 수 없습니다.→ 이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자연조건에 영.. 2025. 4. 3.
경제금융용어 07 | [골디락스 경제]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골디락스 경제’란 경제성장이 지나치게 빠르지도, 너무 느리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성장률은 적당히 높고, 물가는 안정적이며, 실업률도 낮은 상황을 말하죠. 이 용어는 영국 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주인공 골디락스가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딱 좋은’ 죽을 선택하듯이, 경제도 너무 뜨겁지도(과열), 차갑지도(침체) 않은 ‘딱 좋은’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후술하겠지만, 대표적으로는 미국이 1996년-2000년 정도에 높은 경제성장률, 낮은 실업률, 안정적 물가를 갖췄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단어라고 하네요.) [골디락스와 세마리의 곰] 줄거리어느 숲속에 아기 곰, 엄마 곰, 아빠 곰, 세 마리 곰 가족이 살고 있었어요.하루는 곰들이 식.. 2025. 4. 1.
경제금융용어 06 | [고통지수]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고통지수 (Misery Index)정의고통지수란 한 나라의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율)을 더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용어는 1970년대 미국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Okun)”이 고안했으며, 경제학적 복잡성을 단순화하여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불안정을 측정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습니다.실업률 (Unemployment Rate)고통지수를 계산하는 두 요소 중 하나로, 경제활동 인구 중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커지고, 이는 고통지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소비자물가상승률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고통지수의 또 다른 구성 요소로, 물가가 상승하는 .. 2025.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