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리3

경제금융용어 09 | [공급탄력성]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 공급탄력성이란 가격이 변할 때 생산자(공급자)가 상품의 공급량을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이 값이 클수록 공급자가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뜻이고, 작을수록 가격이 변해도 공급량을 잘 바꾸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재화의 가격이 10% 오르자 공급량이 20% 늘었다면,공급탄력성은 20 ÷ 10 = 2, 즉 탄력적인 공급이라고 볼 수 있어요. 반대로 가격이 많이 올라도 공급량이 거의 늘지 않는다면 비탄력적 공급이라고 하죠. 사례 1. 농산물: 공급 비탄력적농작물은 대표적인 공급 비탄력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올랐다고 해도 당장 벼를 더 심을 수는 없기 때문에 공급량을 바로 늘릴 수 없습니다.→ 이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자연조건에 영.. 2025. 4. 3.
경제금융용어 05 | [고정금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고정금리 (Fixed Interest Rate) 용어의 정의 고정금리는 대출이나 예금 계약 기간 동안 금리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다면, 시장 금리가 어떻게 변하든 계약한 금리는 그대로 유지되어 매달 상환해야 할 이자 비용이 일정하게 고정됩니다. 고정금리 방식은 대출자나 예금자 모두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여, 장기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기에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 상품은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가 변동하는 변동금리 상품에 비해 안정적이지만, 금리가 고정된 만큼 초기 금리가 다소 높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고정금리는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유리하며, 장기적으로 금리 인상 리스크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주로 선택.. 2024. 11. 15.
경제금융용어 01 | [가산금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용어의 정의가산금리란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할 때 기준금리에 추가하여 붙이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기준금리는 주로 중앙은행이 설정한 정책금리 또는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된 금리입니다. 가산금리는 대출자의 신용 위험, 대출 형태,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이 추가 금리는 금융기관이 대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당하기 위해 더 받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신용도가 높고 상환 능력이 우수한 대출자에게는 가산금리가 낮게 설정되며, 반대로 신용도가 낮고 상환 위험이 큰 대출자에게는 가산금리가 높게 부과됩니다. 가산금리는 금융기관이 대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에게 더 높은 가산금리를 부과함으로써 대출.. 2024.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