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금융용어9

경제금융용어 02 | [경기동향지수]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용어의 정의 경기동향지수 (Business Cycle Indicators)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활동의 변화를 측정해 경제가 성장하는지, 침체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와 기업이 경제정책을 수립하거나 경영 전략을 세울 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됩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지표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경제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반영해 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순환의 주기에 따라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로 구분됩니다. • 선행지수(Index of Leading Indicators): 경기의 흐름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지표로, 신규 주문, 주식시장 지수, 주택 착공 건수 등이 대표적입니다. 선행지수는 경기동향.. 2024. 10. 29.
경제금융용어 01 | [가산금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용어의 정의가산금리란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할 때 기준금리에 추가하여 붙이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기준금리는 주로 중앙은행이 설정한 정책금리 또는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된 금리입니다. 가산금리는 대출자의 신용 위험, 대출 형태,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이 추가 금리는 금융기관이 대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당하기 위해 더 받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신용도가 높고 상환 능력이 우수한 대출자에게는 가산금리가 낮게 설정되며, 반대로 신용도가 낮고 상환 위험이 큰 대출자에게는 가산금리가 높게 부과됩니다. 가산금리는 금융기관이 대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에게 더 높은 가산금리를 부과함으로써 대출.. 2024. 10. 28.
경제금융용어 00 | 서론, 용어 소개, 함께 보면 좋은 책 서론김승호 ‘돈의 속성’을 읽던 도중, ‘자신이 금융 문맹인지 알아보는 법’이라는 부분에서 한국은행이 국민에게 올바른 경제 개념을 알리고 금융 이해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발행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0개정도를 추려 이 중 80%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면 완벽한 성벽을 갖춘 투자자이고, 50%-80% 사이라면 긍정적이나 여전히 공부를 조금 더 하고 투자를 해야한다는 내용이 나왔다. 이 중 현재 알고 있는 단어는 아래 파란색 글씨로 표기한 35개이고, 그 조차도 누군가에게 설명하라고 하면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 ‘돈의 속성’에서는 만약 아래 단어 중 50개 이하를 아는 상태라면 모든 공부를 중단하고 이 용어부터 공부할 것을 추천한다. 때문에 오늘부터 1차로는 아래 95개의 경제금.. 2024.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