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책 리뷰 0008 [나는 투자로 30년을 벌었다] 주요내용, 느낀점, 결론 투자를 배워갈 수록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밍을 비롯해 모든 것이 '어떤것을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의사결정의 차이를 만들어가는 노하우를 담은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 주요내용 ]  투자의 'why'와 'how'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what'만 찾는 것은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지고, 결국 돈을 잃게 된다. 투자 자체보다는 투자로 이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에 더 집중하고.. 수익을 얻는 방법론만 애기하기 보다는 수익이 생기는 근본원리를 다루려고 노력했다. 시간과 돈을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따라 남은 인생이 결정된다. 습관1. 자산 현황을 한 곳에 모아 관리하라첫번째 단기목표는 건물주와 같이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의 비중을 50:50에 가깝게 만드는 .. 2025. 4. 8.
경제금융용어 11 | [국가신용등급]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국가신용등급은 한 나라가 외국 투자자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돈을 제때 갚을 수 있을지를 평가한 등급이에요. 쉽게 말해, “이 나라, 돈 빌려줘도 괜찮을까?”를 신용평가회사가 점수로 매긴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이 등급은 주로 국제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 스탠더드앤푸어스(S&P), 피치(Fitch)에서 평가해요. (일본의 JCR, 중국의 다궁신용(Dagong), 우리나라의 NICE평가정보 등도 국가신용등급을 발표하긴 하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것은 위의 3곳이에요.) 국가신용등급에서 대문자와 소문자의 차이는 등급의 세부안정성을 나타내는 표기 방식이에요. 평가사마다 조금 다르기도 하죠.- Moody’s (무디스) 방식 https://www.moodys.comAaa, Aa.. 2025. 4. 7.
경제금융용어 10 | [공매도]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우리나라에서는 2025년 3월 31일부터 주식시장에서의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었습니다. 이전에는 2023년 11월부터 약 1년 4개월 동안 공매도가 금지되었었는데요, 이는 외국계 증권사들의 불법 무차입 공매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금융당국은 그동안 불법 공매도 방지 시스템(NSDS)을 구축하고, 투자자별 상환 기간 및 담보 비율을 조정하는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시장의 공정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공매도 재개로 인해 일부 업종이나 종목에서 단기적인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수급 개선 등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럼, 공매도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오늘은 좀 자세.. 2025. 4. 4.
경제금융용어 09 | [공급탄력성]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 공급탄력성이란 가격이 변할 때 생산자(공급자)가 상품의 공급량을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이 값이 클수록 공급자가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뜻이고, 작을수록 가격이 변해도 공급량을 잘 바꾸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재화의 가격이 10% 오르자 공급량이 20% 늘었다면,공급탄력성은 20 ÷ 10 = 2, 즉 탄력적인 공급이라고 볼 수 있어요. 반대로 가격이 많이 올라도 공급량이 거의 늘지 않는다면 비탄력적 공급이라고 하죠. 사례 1. 농산물: 공급 비탄력적농작물은 대표적인 공급 비탄력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올랐다고 해도 당장 벼를 더 심을 수는 없기 때문에 공급량을 바로 늘릴 수 없습니다.→ 이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자연조건에 영.. 2025. 4. 3.
경제금융용어 08 | [공공재]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공공재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누군가가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이용이 줄어들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즉, 두 가지 핵심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누구도 이용에서 제외할 수 없음• 비경합성(Non-rivalry): 한 사람이 소비해도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량이 줄지 않음 예를 들어, 공원이나 거리의 가로등, 국방 시스템 등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내가 사용한다고 해서 누군가의 이용에 방해가 되지 않죠. 그래서 공공재는 시장에 맡기면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직접 제공하거나 보조금을 통해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대표적인 공공재의 종류들1. 국방가장 대표적인 공공재예요. 나라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국방.. 2025. 4. 2.
경제금융용어 07 | [골디락스 경제] 용어의 정의, 사례, 연관용어 정의‘골디락스 경제’란 경제성장이 지나치게 빠르지도, 너무 느리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성장률은 적당히 높고, 물가는 안정적이며, 실업률도 낮은 상황을 말하죠. 이 용어는 영국 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주인공 골디락스가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딱 좋은’ 죽을 선택하듯이, 경제도 너무 뜨겁지도(과열), 차갑지도(침체) 않은 ‘딱 좋은’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후술하겠지만, 대표적으로는 미국이 1996년-2000년 정도에 높은 경제성장률, 낮은 실업률, 안정적 물가를 갖췄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단어라고 하네요.) [골디락스와 세마리의 곰] 줄거리어느 숲속에 아기 곰, 엄마 곰, 아빠 곰, 세 마리 곰 가족이 살고 있었어요.하루는 곰들이 식.. 2025. 4. 1.